PCO란 ‘Professional Congress Organizer'의 이니셜 표기로서 ‘국제회의기획업체'를 말한다. PCO(Professional Congress Organizer) 는 국제회의 개최와 관련한 다양한 업무를 행사 주최측으로부터 위임받아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대행해주는 영리업체이다. PCO는 여러 형태의 회의에 대한 풍부한 경험과 회의장, 숙박시설, 여행사 등 회의관련업체와 평소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여 모든 업무를 종합적으로 조정/운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최측의 시간과 경비를 상당히 절감해 줄 수 있다.

<PCO의 주요 업무>
  • 국제회의 유치, 회의 전체의 운영, 회의 예산의 편성
  • 회의사무국 업무대행 : 각종 문서작성, 수송, 숙박 등 각종 관련업체 수배
  • 동시통역, 일반통역의 제공
  • 회의 의사록, 프로그램, 초대장 등 회의관련 자료의 제작과 발송
  • 리셉션, 관광, 동반자 프로그램 등 관련행사 계획과 실시
  • 필요 인력 제공, 회의운영 종합 컨설팅 등
 

PEO란 ‘Professional Exhibition Organizer'의 이니셜 표기로서 ‘전시전문기획사'를 말한다. 여기에서 말하는 전시회는 산업측면에서의 전시회로서 ‘유형 또는 무형의 상품을 매개로 제한된 장소에서 일정한 기간동안 구매자(참관객)와 생산자(전시자)간에 거래를 목적으로 진행되는 마케팅 활동'을 뜻한다.

<전시회 참가시 기업이 얻는 것>
첫째, 신상품 소개 및 기존상품 마케팅 기회의 획득
둘째, 정보수집 및 네트워킹 효과
셋째, 고객 서비스 지원 및 기업 이미지 제고 

'알고 싶은 것 >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U-헬스케어  (0) 2012.03.27
크라우드펀딩(crowd funding)  (0) 2012.03.26
Timothy Cook  (0) 2012.03.20
수처작주 입처개진  (0) 2012.03.19
파사현정  (0) 2012.02.17
티머시 D. 팀 쿡 (Timothy D. Tim Cook, 1960년 11월 1일 ~ )은 애플의 CEO로, 1998년 3월 애플에 입사하였다. 팀쿡은 2011년 8월 24일 스티브 잡스가 애플의 CEO에서 사임한 후, 새로운 애플의 CEO로 선임되었다. 그는 나이키의 이사직도 맡고 있다.


'잡스의 애플 VS 쿡의 애플' 다른점 5가지

“스티브 잡스 그늘에서 완전히 벗어났다” 주목받는 애플 CEO 팀 쿡의 리더십
http://news.kukinews.com/article/view.asp?page=1&gCode=kmi&arcid=0005931751&cp=nv

'알고 싶은 것 >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크라우드펀딩(crowd funding)  (0) 2012.03.26
PCO / PEO  (0) 2012.03.21
수처작주 입처개진  (0) 2012.03.19
파사현정  (0) 2012.02.17
Squeezed Middle  (0) 2012.02.16
최근 영국 옥스퍼드 영어사전 편집진이 올해의 단어로 ‘쥐어짜인 중산층(squeezed middle)’을 선정했다. 물가상승, 임금동결, 공공지출 삭감 등으로 중산층의 살림살이가 팍팍해지는 현실을 빗댄 말이다. 전 세계적으로 양극화가 심화되면서 빈곤층으로 추락하는 중산층이 증가하고, 빈곤의 대물림이 일상화되면서 중동지역에서는 재스민 혁명이 일어났다. 미국에서 시작된 월가 점령 시위는 전 세계로 확산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헤럴드포럼> 올해의 단어 ‘squeezed middle’
http://biz.heraldm.com/common/Detail.jsp?newsMLId=20111207000084

'알고 싶은 것 >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처작주 입처개진  (0) 2012.03.19
파사현정  (0) 2012.02.17
Sukuk(수쿠크)  (0) 2012.02.15
석패율 제도  (0) 2012.02.14
Sputnik Moment  (0) 2012.02.13
이슬람국가들이 발행하는 채권으로, 이자를 금지하는 이슬람율법에 따라 개발되었다. 투자자들은 이자 대신 배당금으로 수익을 배분받게 된다.


[WEEKEND 매경] 이슬람채권…고유가에 몸값올려 세계 금융무대로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1&no=138881 

'알고 싶은 것 >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사현정  (0) 2012.02.17
Squeezed Middle  (0) 2012.02.16
석패율 제도  (0) 2012.02.14
Sputnik Moment  (0) 2012.02.13
V칩  (0) 2012.02.02
세계경제포럼(WEF;World Economic Forum)을 일컫는 말. 1981년부터 매년 1~2월 스위스의 고급 휴양지인 다보스에서 회의를 하기 때문에 일명 '다보스회의' 라고도 불린다.

세계의 저명한 기업인·경제학자·저널리스트·정치인 등이 모여 세계경제에 대해 토론하고 연구하는 국제민간회의로 지난 1971년 독일 출신의 하버드대 경영학교수 클라우스 슈바브(Klaus Schwab)에 의해 만들어져 독립적 비영리재단 형태로 운영되고 있고 본부는 제네바에 있다. 

처음에는 '유럽인 경영심포지엄'으로 출발했으나 1973년부터 참석대상을 전세계로 넓히고 정치인으로까지 확대했다. 그리고 다보스회의가 지나치게 배타적이라는 비판을 듣게되자 2001년부터 비정부기구 인사를 초청하는 등 열린 토론의 장으로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WEF는 연차총회 외에도 지역별 회의와 산업별 회의를 운영하면서 세계무역기구(WTO)나 선진국 정상회담(G7)에 큰 영향력을 미친다.

WEF는 초청된 인사들만 참석할 수 있는 배타적인 고급 클럽의 성격을 띠고 있다. WEF의 법인회원은 일정기준 이상의 매출액을 내야 하며, 매년 WEF에 회비를 내고, 포럼에 참가하기 위해서는 별도로 1인당 항공비, 숙박비를 제외하고 참가비를 내야한다. 

정치인은 철저하게 현직에 국한되며 주로 국제적 영향력이 큰 국가원수급이 참가한다. 초청받은 정치지도자들은 회비를 내지 않는다.


다보스포럼 ‘우울한’ 개막
http://j.mp/zth2Im

'알고 싶은 것 >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액세스권(right of access)  (0) 2012.01.31
세계 4대 통신사  (0) 2012.01.30
하우스 노마드  (0) 2012.01.25
독수독과론  (0) 2012.01.19
코아비타시옹(cohabitation)  (0) 2012.01.18
생산 설비 또는 대형 기계의 수출, 즉 공장의 전부 또는 일부를 건설하고 관련 기계를 시설하여 가동할 수 있게 될 때까지 모든 것을 떠맡는, 다시 말해 공장을 통째로 수출하는 것을 말한다. 발전 설비, 선박 ·차량 ·제철기계의 설비, 방적기계 등의 수출이 이에 해당한다. 키(key)만 돌리면 모든 설비가 가동하게끔 된 상태에서 인도하는 플랜트수출의 계약방식을 턴키방식(turn-key system)이라 한다. 플랜트수출은 부가가치가 높고 자원을 절약하며 지식집약형의 수출로 고용 유발효과도 높은데다 수출에 따른 국가 간 마찰도 적은 편이어서 신국제분업의 단계에 있어 선진 자본주의 국가가 취하는 전형적인 수출 방식이 되었다.

'알고 싶은 것 >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아비타시옹(cohabitation)  (0) 2012.01.18
셧다운제  (0) 2012.01.17
토빈세  (0) 2012.01.10
슈바베의 법칙  (0) 2012.01.09
페르소나 논 그라타(persona non grata)  (0) 2012.01.06
단기성 외환거래에 부과하는 세금. 노벨상을 수상한 미 경제학자 제임스 토빈이 1978년 제안한 것으로, 국제 투기자본을 규제하기 위한 방안의 일종이다. 단기적 자금 이동에 세금을 매겨 거래비용을 높임으로써 투기적 거래를 억제할 수 있으나 모든 국가가 토빈세를 도입하지 않으면 효력을 발휘하지 못한다.

갈길 먼 유럽, 토빈세에 발목 잡히나

'알고 싶은 것 >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셧다운제  (0) 2012.01.17
플랜트수출  (0) 2012.01.16
슈바베의 법칙  (0) 2012.01.09
페르소나 논 그라타(persona non grata)  (0) 2012.01.06
반의사불벌죄, 친고죄  (0) 2012.01.05
독일 통계학자 H. 슈바베가 발견한 근로자의 소득과 주거비에 대한 지출의 관계법칙. 소득 수준이 높으면 높을수록 집세에 지출되는 금액은 커지지만 전체 생계비에 대한 주거비의 비율은 낮고, 소득이 낮을수록 전체 생계비에 대한 주거비의 비율은 높아지는 것을 말한다.
'엥겔의 법칙'은 근로자의 소득과 식료품비와 관계를 나타낸 것으로 저소득 가계일수록 식료품비가 차지하는 비율이 높고, 고소득 가계일수록 식료품비가 차지하는 비율이 낮다. 

'알고 싶은 것 >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플랜트수출  (0) 2012.01.16
토빈세  (0) 2012.01.10
페르소나 논 그라타(persona non grata)  (0) 2012.01.06
반의사불벌죄, 친고죄  (0) 2012.01.05
리크 게이트(leak gate)  (0) 2012.01.04


SPA(Speciality retailer of Private label Apparel)

SPA는 미국 브랜드 ‘갭’이 1986년에 선보인 사업모델로 의류기획∙디자인, 생산∙제조, 유통∙판매까지 전 과정을 제조회사가 맡는 의류 전문점을 말한다. 백화점 등의 고비용 유통을 피해 대형 직영매장을 운영, 비용을 절감시킴으로써 싼 가격에 제품을 공급하고, 동시에 소비자의 요구를 정확하고 빠르게 캐치하여 상품에 반영시키는 새로운 유통업체이다. 고객수요와 시장상황에 따라 1~2주 만에 ‘다품종 대량공급’도 가능한 것이 특징이며, SPA를 ‘패스트패션’이라고도 부른다.

ZARA : 스페인 브랜드. 1974년에 설립.
H&M : 스웨덴 브랜드. 스페인의 SPA브랜드 선두주자.
GAP : 미국 브랜드. 미국 특유의 베이직 스타일.
UNIQLO : 일본 브랜드. 패션 감성이 있는 국내 연예인들을 모델로 기용.
Forever 21 : 미국 브랜드. 미국에 450개의 매장이 있음. 미국 이민자 한국인 부부가 설립.
SPAO : 한국 브랜드. 이랜드 그룹에서 설립. 한류 스타들을 통해 마케팅 펼침.


2011, 라이프스타일을 바꾼 키워드 6
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11120810382554933

'알고 싶은 것 >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디어 렙(media rep)  (0) 2011.12.27
LTE  (0) 2011.12.26
아이스크림 샌드위치  (0) 2011.12.08
비례대표제  (0) 2011.12.07
진돗개 경보  (0) 2011.12.06

프로그램 매매호가 관리제도의 일종으로, 주식시장에서 주가의 등락폭이 갑자기 커질 경우 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완화하기 위해 주식매매를 일시 정지시키는 제도인 서킷브레이커(circuit breaker)와 유사한 개념이다.
한국에서는 주가지수 선물시장을 개설하면서 도입하였는데, 선물가격이 전일종가 대비 5% 이상(코스닥은 6% 이상) 상승 또는 하락해 1분간 지속될 때 발동하며, 일단 발동되면 발동시부터 주식시장 프로그램 매매호가의 효력이 5분간 정지된다.
그러나 5분이 지나면 자동적으로 해제되어 매매 체결이 재개되고, 주식시장 후장 매매 종료 40분 전(14시 20분) 이후에는 발동할 수 없으며, 또 1일 1회에 한해서만 발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알고 싶은 것 >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킨슨의 법칙(Pakinson's law)  (0) 2011.12.05
룰즈섹  (0) 2011.12.02
아소카  (0) 2011.11.30
주민투표 적용  (0) 2011.11.30
아프리카의 뿔  (0) 2011.11.29

+ Recent posts